항목 ID | GC09100915 |
---|---|
한자 | 曺友仁 |
영어공식명칭 | Cho Wooin |
이칭/별칭 | 여익(汝益),이재(頤齋),매호(梅湖) |
분야 | 역사/전통 시대,인물/전통 시대 인물 |
유형 | 인물/문무 관인 |
지역 | 경상북도 상주시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이광우 |
출생 시기/일시 | 1561년 - 조우인 출생 |
---|---|
활동 시기/일시 | 1588년 - 조우인 진사시 합격 |
활동 시기/일시 | 1600년 - 조우인 제용감참봉 파직 |
활동 시기/일시 | 1605년 - 조우인 문과 급제 |
활동 시기/일시 | 1616년 - 조우인 경성판관 부임 |
활동 시기/일시 | 1621년 - 조우인 투옥 |
활동 시기/일시 | 1624년 - 조우인 석방 |
몰년 시기/일시 | 1625년 - 조우인 사망 |
출생지 | 경상도 예천군 노포리면 - 경상북도 예천군 개포면 |
거주|이주지 | 매호정사 - 경상북도 상주시 사벌국면 매호리 |
묘소|단소 | 조우인 묘소 - 경상북도 예천군 개포면 우감리 |
성격 | 문신 |
성별 | 남성 |
본관 | 창녕(昌寧) |
대표 관직 | 경성판관 |
[정의]
조선 후기 상주 지역에 거주한 문신.
[가계]
조우인(曺友仁)[1561~1625]의 본관은 창녕(昌寧)이며, 자는 여익(汝益), 호는 이재(頤齋)·매호(梅湖)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우부승지 조계형(曺繼衡)이고, 할아버지는 조언홍(曺彦弘)이다. 아버지는 조몽신(曺夢臣)이고, 어머니는 신주(申澍)의 딸 평산 신씨(平山 申氏)이다. 첫 번째 부인은 이영승(李令承)의 딸 영천 이씨(永川 李氏), 두 번째 부인은 좌랑 이열도(李閱道)의 딸 진성 이씨(眞城 李氏), 세 번째 부인은 임경록(林景祿)의 딸 장흥 임씨(長興 任氏)이다. 아들은 조정융(曺挺融)이다.
[활동 사항]
조우인은 1561년(명종 6) 경상도 예천군 노포리면(蘆浦里面)[현 경상북도 예천군 개포면 일대]에서 태어났다. 1588년(선조 21) 진사시에 합격하였고, 천거로 제용감참봉에 제수되었으나 공적인 일을 사적으로 처리하였다는 이유로 사헌부의 탄핵을 받고 1600년에 파직되었다. 1605년 정시 문과에 급제하였고, 이후 성균관전적·사헌부감찰·평안도도사·형조정랑·은계도찰방 등을 거쳐 1616년(광해군 8) 경성판관이 되었다. 경성판관 재임 시 공적을 인정받아 통정대부에 올랐다.
조우인은 1621년 인목대비(仁穆大妃)가 유폐되어 있던 서궁(西宮)의 분승지(分承旨)로 입직하였다. 이때 조우인은 “오르내리던 영령(英靈)들이 야대에 막혀 있네[陟降英靈隔夜臺]”라는 절구를 벽 위에다가 적었다. 이때 함께 입직하던 백대형(白大珩)이 시를 보고 역적을 비호한 것이라고 무고하였다. 조우인은 사간원과 사헌부의 탄핵을 받고 여러 차례 형신(刑訊)을 당하였으며, 3년간 옥고를 치르다가 1623년(인조 1) 인조반정이 일어난 후 석방되었다.
조우인은 첨지중추부사·동부승지·우부승지에 제수되었으나 나아가지 않고 상주목 매호[현 경상북도 상주시 사벌국면 매호리]에 매호정사(梅湖精舍)를 짓고 지내다가 1625년 사망하였다.
[학문과 저술]
조우인의 저술로는 문집인 『이재집(頤齋集)』 2권 2책과 가사집인 『이재영언(頤齋詠言)』이 전한다. 『이재영언』에는 「매호별곡(梅湖別曲)」, 「자도사(自悼詞)」, 「관동속별곡(關東續別曲)」, 「출새곡(出塞曲)」 등의 가사 작품이 전한다. 그 중 「매호별곡」은 만년에 은거했던 상주 매호의 자연을 노래한 작품이다.
[묘소]
조우인의 묘소는 예천군 개포면 우감리에 있으며, 이식(李植)이 묘지명을 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