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100962
한자 金丘庸[詩人]
영어공식명칭 Kim Gu-yong
이칭/별칭 김영탁(金永卓)
분야 역사/근현대,인물/근현대 인물
유형 인물/문인·학자
지역 경상북도 상주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정목주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922년연표보기 - 김구용[시인] 출생
활동 시기/일시 1949년 - 김구용[시인] 문단 데뷔
활동 시기/일시 1956년 - 김구용[시인] 현대문학사 제정 제1회 신인문학상 수상
활동 시기/일시 2001년 - 김구용[시인] 제36회 월탄문학상 수상
몰년 시기/일시 2001년 12월 28일연표보기 - 김구용[시인] 사망
출생지 수봉리 - 경상북도 상주시 모동면 수봉리 지도보기
수학|강학지 경북공립중학교[현 경북고등학교] - 대구광역시 수성구 청호로 300[황금동 9]
수학|강학지 경성공업경영전문학교 - 서울
수학|강학지 성균관대학교 - 서울특별시 종로구 성균관로 25-2[명륜동3가 53-21]
묘소|단소 용인공원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모현읍 새래로 158-33[초부리 692-2]
성격 시인
성별 남성
대표 관직|경력 성균관대학교 교수

[정의]

경상북도 상주 출신의 시인.

[가계]

김구용(金丘庸)[1922~2001]의 원래 이름은 김영탁(金永卓)이며, 구용은 아호(雅號)이다.

[활동 사항]

김구용[시인]은 1922년 경상북도 상주시 모동면 수봉리에서 태어났다. 1940년 경북공립중학교[현 경북고등학교], 1945년 경성공업경영전문학교를 졸업하였다. 김구용[시인]은 광복 전까지 동학사(東鶴寺) 등 여러 사찰을 돌아다니며 유불선 삼가(三家)의 경전과 태서(泰西)의 고전 등을 두루 섭렵하였다. 1953년 성균관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였는데, 대학 재학 중인 1949년 『신천지』에 「산중야(山中夜)」, 「백탑송(白塔頌)」을 발표하면서 문단에 데뷔하였다. 6·25 전쟁 이후 부산에서 본격적으로 작품 활동을 시작하였다.

김구용[시인]은 1953년 봄 『문예(文藝)』 신춘 호에 「탈출(脫出)」을 발표한 이래, 「산재(散在)」, 「분광(噴光)의 심장」, 「적라(赤裸)한 노예」 등을 연달아 발표하였다. 당시의 작품들은 6·25 전쟁으로 인한 폐허와 상처를 불교적 세계관에 근거하여 독특한 자의식의 세계를 담아내었다는 평가를 받는다. 특히 과거 한국 시에서는 보기 드문 행과 연의 구분이 완전히 무시된 형태의 시를 보여 주었다. 뒤이어 발표한 「관음찬(觀音讚)」, 「꿈의 이상(理想)」, 「육곡(六曲)」 등의 작품들은 산문시를 넘어 장시로 평가받는다. 짧은 형태의 시로 표현하기 어려운 사상적 깊이를 담아내고 있다.

김구용[시인]은 1987년까지 성균관대학교 교수를 지냈으며, 한국독립당 당무위원, 신민주공화당 당무위원, 자유민주연합 고문 등 정치인으로도 활동하였다.

김구용은 2001년 12월 28일 사망하였다.

[학문과 저술]

김구용[시인]의 시집으로는 『시(詩)』, 『시집(詩集)』Ⅰ, 『구곡(九曲)』, 『송백팔(頌百八)』, 『뇌염』, 『풍미』, 『김구용문학전집』 등이 있다. 「잃어버린 자세」, 「그대의 미소」, 「혈서」, 「미해결의 장」, 「인간동물원초」 등의 작품이 있으며, 번역서로 『채근담』, 『열국지』, 『삼국지』 등 다수의 중국 고전이 있다.

[묘소]

김구용의 묘소는 경기도 처인구 모현읍 새래로 158-33[초부리 692-2] 용인공원에 있다.

[상훈과 추모]

김구용은 1956년 현대문학사 제정 제1회 신인문학상, 2001년 제36회 월탄문학상을 수상하였다. 강원도 인제군 백담사에 있는 김구용의 시비에 시 「동(冬)」이 새겨져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