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9101003 |
---|---|
한자 | 李康夏 |
영어공식명칭 | Lee Kang-ha |
이칭/별칭 | 운약(雲若) |
분야 | 역사/근현대,인물/근현대 인물 |
유형 | 인물/의병·독립운동가 |
지역 | 경상북도 상주시 |
시대 | 근대/개항기 |
집필자 | 권대웅 |
출생 시기/일시 | 1873년 6월 28일![]() |
---|---|
활동 시기/일시 | 1896년 - 이강하 김산의진 참여 |
몰년 시기/일시 | 1940년 10월 28일![]() |
추모 시기/일시 | 2018년 8월 15일![]() |
출생지 | 나호리 - 대구광역시 군위군 우보면 나호리 |
거주|이주지 | 금산리 -
경상북도 상주시 화서면 금산리
![]() |
묘소 | 국립대전현충원 - 대전광역시 유성구 현충원로 251[갑동 산23-1] |
성격 | 의병 |
성별 | 남성 |
개항기 경상북도 상주 출신의 의병.
이강하(李康夏)[1873~1940]의 본관은 전주(全州)이며, 자는 운약(雲若)이다. 아버지는 김산의진(金山義陣)의 창의장 이기찬(李起璨)이다.
이강하는 1873년 6월 28일 지금의 대구광역시 군위군 우보면 나호리에서 태어나, 경상북도 상주시 화서면 금산리 340에 거주하였다. 1896년 3월 아버지 이기찬이 김산의진의 창의장으로 추대되어 김천·영동·황간·보은·상주 일원에서 의병 활동을 벌일 때 이강하는 이기찬을 따라 의병에 참여하였다. 이강하는 상주 일원에서 활동하다가 1896년 6월 체포되어 상주감옥에 수감되었다.
참령(參領) 이겸재(李謙齋)의 심문에 이강하는 자신의 행위를 중국 송나라 때 충신으로 참소를 당하여 죽은 악비(岳飛)에 비유하며 항변하였다. 이겸재가 사형에 처하려고 하였으나, 당시 안동부관찰사 수당(修堂) 이남규(李南珪)가 이겸재에게 보낸 글 덕분에 감옥에서 풀려날 수 있었다.
이강하는 1940년 10월 28일 사망하였다.
이강하의 묘소는 대전광역시 유성구 현충원로 251[갑동 산23-1] 국립대전현충원 독립유공자 묘역에 있다.
대한민국 정부는 이강하의 공적을 기려 2018년 8월 15일 대통령 표창을 추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