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101047
한자 尙州警察署
영어공식명칭 Sangju Police Station
이칭/별칭 상주서
분야 정치·경제·사회/정치·행정
유형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지역 경상북도 상주시 중앙로 230[성하동 13-2]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임경희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설립 시기/일시 1945년 10월 21일연표보기 - 상주경찰서 설립
이전 시기/일시 1991년 3월 2일 - 상주경찰서 경상북도 상주시 성하동 13-2로 이전
현 소재지 상주경찰서 - 경상북도 상주시 중앙로 230[성하동 13-2]지도보기
성격 공공 기관
전화 182
홈페이지 상주경찰서(http://gbpolice.go.kr/sangju)

[정의]

경상북도 상주시 성하동에 있는 경상북도경찰청 소속의 경찰서.

[설립 목적]

상주경찰서(尙州警察署))는 경상북도 상주 시민의 생명·신체 및 재산 보호, 범죄 예방·진압 및 수사, 치안 정보 수집, 교통 단속, 기타 공공의 안녕과 질서 유지를 위하여 설립되었다.

[변천]

상주경찰서는 1945년 10월 21일 국립경찰청 창설과 함께 상주경찰서로 설립되었으며, 1951년 6월 13일 1급지 경찰서로 책정되었다. 1956년 10월 4일 상주경찰서 직할 파출소를 발족하였고, 1965년 1월 30일 북문파출소를 신설하였다. 1977년 3월 16일 2급지 경찰서로 등급이 조정되었으며, 1978년 동문파출소를 신설하였다.

1991년 3월 2일 경상북도 상주시 중앙로 230[성하동 13-2]에 청사를 개축, 이전하였다. 1995년 1월 1일 외남, 외서 등 17개 지서를 파출소로 개칭하였다. 1998년 7월 10일 외남파출소와 화남파출소를 각각 출장소로 개칭하였고, 2000년 6월 1일 화동파출소, 중동파출소, 외남출장소, 화남출장소를 각각 화동분소, 중동분소, 외남분소, 화남분소로 개칭하였다. 2003년 8월 1일 관내 파출소와 분소를 4개 지구대와 2개 특수 파출소로 개편하였다.

2007년 4월 30일 은척파출소를 개소하고 조직을 4개 지구대, 3개 파출소, 15개 치안센터 체제로 개편하였다. 2008년 9월 1일 직제를 3개 지구대, 6개 파출소, 13개 치안센터로 개편했고, 2010년 다시 13개 파출소, 9개 치안센터 체제로 정비하였다. 2013년 11월 25일 생활안전과 여성청소년계를 여성청소년과로 개편하였으며, 2021년 1월 1일 생활안전과 112종합상황실을 112치안종합상황실로 개편하였다.

2021년 2월 4일 직제 개편을 통하여 공검파출소를 중앙지구대로, 낙동파출소를 동문지구대로, 은척파출소와 사벌국파출소를 함창파출소로, 청리파출소와 모동파출소를 공성파출소로, 화동파출소와 화북파출소를 화서파출소로 편입시켰다. 2021년 12월 현재 2지구대 3파출소 체제이다.

[주요 사업과 업무(활동 사항)]

상주경찰서는 경상북도 상주시 관내의 치안 유지 및 주민의 생명과 재산 보호를 위하여 형사 수사, 방범, 순찰, 교통 질서 확보 등과 관련된 사업과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상주경찰서는 범죄와 사고로부터 주민 생활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하여 도보 순찰, 기동 순찰 등 입체적 범죄 예방 활동을 전개하고 있으며, 민생 침해 범죄 척결, 사이버 세계의 건전한 치안 질서 유지, 국제성 범죄의 집중 근절, 교통사고 줄이기 및 선진 교통 문화 정착, 아동 학대 조정 등의 활동에도 주력하고 있다. 또한 사회 안정을 확고히 하기 위하여 법과 원칙이 존중받는 성숙한 시위 문화를 조성하고, 생활 주변의 범법과 무질서를 척결하기 위한 활동도 집중적으로 전개하고 있다.

그 외에도 주민 생활 중심의 자치경찰제를 도입하여 건강한 조직 문화 구축에도 적극적으로 노력하고 있다.

[현황]

2022년 12월 현재 경찰청장 아래 112치안종합상황실과 6개 과[경무과, 정보안보외사과, 수사과, 생활안전과, 여성청소년과, 경비교통과], 2개 지구대, 3개 파출소 체제로 운영 중이다. 2개 지구대는 중앙지구대와 동문지구대이고, 3개 파출소는 함창파출소, 공성파출소, 화북파출소이다.

[의의와 평가]

상주경찰서는 관내 치안 유지 및 시민의 생명과 재산 등을 보호하는 데 이바지하고 있다. 그렇지만 상주시를 포함한 경상북도 내 대다수 시·군 지역이 초고령 사회로 접어듦에 따라 노인을 비롯한 사회적 약자 보호 방안 마련이 요구되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