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9101340 |
---|---|
이칭/별칭 | 「상엿소리」 |
분야 |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
유형 | 작품/민요와 무가 |
지역 | 경상북도 상주시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권미숙 |
채록 시기/일시 | 1993년 8월 26일 - 「상여소리」 김영래·김영호에게서 채록 |
---|---|
관련 사항 시기/일시 | 2010년 - 「상여소리」 한 편이 『상주시사』 4권에 수록 |
채록지 | 입석리 - 경상북도 상주시 화북면 입석리 |
가창권역 | 상주시 - 경상북도 상주시 |
성격 | 민요 |
기능 구분 | 의식요 |
형식 구분 | 선후창 |
가창자/시연자 | 김영래|김영호 |
[정의]
경상북도 상주시에서 상여꾼들이 상여를 메고 가면서 부르는 민요.
[개설]
전국 여러 지역에서 불리는 「상엿소리」는 상여꾼들이 상여를 메고 가면서 부르는 의식요이다. 전통 사회의 농촌에서는 초상이 나면 마을 단위로 마을 사람들이 서로 협동하여 장례를 치르고, 또 상여꾼들이 되어서 「상엿소리」를 부르곤 하였다. 경상북도 상주시에서 전하여 오는 「상엿소리」는 「상여소리」라는 이름으로 채록되었는데, 상주시에서 채록된 「상여소리」는 「상여 가는 소리」와 「오르막 오르는 소리」로 나뉘어 불렸다.
[채록/수집 상황]
상주시에서 전하여 오는 「상여소리」는 1993년 8월 26일에 지금의 화북면 입석리 선돌배기에서 살던 김영래와 김영호에게서 채록되었고, 2010년 상주시에서 간행한 『상주시사』 제4권 455~456쪽에 실려 있다.
[구성 및 형식]
입석리에서 채록된 「상여소리」는 「상여 가는 소리」와 「오르막 오르는 소리」라는 두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둘 다 선후창 형식으로 부르는데, 「상여 가는 소리」는 메기는소리를 “호오화 호오이 호하”로 받다가 나중에 빨라지면 “호오이 호화”로 받는다. 「오르막 오르는 소리」는 메기는소리와 “어차”라는 받는소리를 한마디씩 주고받는 식으로 진행된다.
[내용]
상주 지역에서 채록된 「상여소리」 중 「상여 가는 소리」의 사설 내용은 다음과 같은 메기는소리로 시작되며, 구절마다 “호오화 호오이 호하”로 받는다.
“호오 호오호 호오이 호화/ 허어 후후후 불쌍하다 이내 일신/ 호오 호오호 인간 하직 망극하다 / 호오 호오호 백 년 집을 마다하고/ 호오 호오호 만년 유택을 찾아간다.” 이어서 다음과 같은 메기는소리로 빨라지면 “호오이 호화”로 받는다. “호오이 호화/ 천지지간 만물 중에/ 사람밖에 또 있는다/ 이 세상에 나온 사람/ 뉘 덕으로 나오셨나/ 하나님의 은총 받아/ 칠성님 전 명을 빌고/ 지성님 전 복을 빌고/ 석가여래 명을 이어/ 아버님 전 빼를 빌고/ 어머님 전 살을 빌어/ 이내 일신 탄생하니/ 이내 일신 탄생하니/ 한두 살에 절을 몰라/ 부모 은공 다할소냐/ 이삼십을 당도해라/ 어이없고 애달도다/ 인간 칠십 고래희라/ 없던 망령 절로 나네/ 구석구석 웃는 모양/ 원통하고 절통하다/ 호오이 호화/ 호오이 호화.”
그다음으로 「오르막 오르는 소리」의 사설 내용은 다음과 같으며 한마디마다 “어차”로 받는다. “어차/ 어차/ 비탈/ 같이/ 당도/ 했네/ 어차/ 시막/ 해야/ 어차/ 영차/ 으샤/ 정상/ 자리/ 다다/ 렀네/ 으차/ 으차.”
[생활 민속적 관련 사항]
예전에 상주 지역 농촌에서는 초상이 나면 마을 단위로 협동하여 장례를 치렀는데, 마을 외딴곳에 있는 상엿집에 공동으로 사용할 수 있는 상여나 그 밖의 도구들을 넣어 두고 필요할 때마다 사용하였다.
[현황]
장례 문화가 현대식으로 편리하게 바뀌면서 주변에서 실제로 상여를 매고 가거나 「상여소리」를 부르는 모습을 찾아보기는 어려워졌다. 다만 상황에 따라서는 「상여소리」를 문화 행사의 하나로 시연하는 경우도 있다.
[의의와 평가]
상주 지역에서 전하여 오는 「상여소리」 중 「오르막 오르는 소리」는 별다른 내용이 없이 그저 “어차”, “으샤”, “영차” 등의 의성어를 반복하여 사용함으로써 오르막을 올라가는 힘든 상황을 잘 드러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