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9101372 |
---|---|
영어공식명칭 | Jaesugunnorae |
분야 |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
유형 | 작품/민요와 무가 |
지역 | 경상북도 상주시 공검면 병암리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권미숙 |
채록 시기/일시 | 1981년 8월 1일 - 「재수굿노래」 조심봉에게서 채록 |
---|---|
관련 사항 시기/일시 | 2010년 - 「재수굿노래」 『상주시사』 4권에 수록 |
채록지 | 병암리 -
경상북도 상주시 공검면 병암리
![]() |
가창권역 | 상주시 - 경상북도 상주시 |
성격 | 무가 |
기능 구분 | 의식요 |
형식 구분 | 독창 |
가창자/시연자 | 조심봉 |
경상북도 상주시 공검면에서 전하여 오는 무가.
재수굿은 집안의 안녕함과 자손의 번창, 그리고 가족의 장수와 다복을 비는 무속 의례이며, 경사굿·안택굿이라고도 한다. 죽은 이의 영혼 천도를 목적으로 하는 지노귀굿과 달리, 산 사람의 복을 집안 단위로 비는 굿이다. 경상북도 상주시에서 전승되는 「재수굿노래」는 이러한 재수굿을 할 때 사용되는 무가이다.
상주시에서 전승되는 「재수굿노래」는 1981년 8월 1일 지금의 공검면 병암리 북촌마[마을]에 살던 제보자 조심봉에게서 채록하였으며, 2010년 상주시에서 간행한 『상주시사』 제4권 452~453쪽에 실려 있다.
「재수굿노래」는 특별히 정해진 형식이 없이 독창으로 부르며, 가창자가 굿을 하는 집안의 사정에 따라 사설 내용을 자유롭게 변화시키며 부른다.
병암리에서 채록된 「재수굿노래」는 “상주군을 접어들 때 공검면을 접어들어”라고 하여 굿을 하는 집의 위치를 먼저 말하는 것으로 시작한다. 후렴구는 없지만 사설 중간마다 “당아”라는 말을 넣었다.
사설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우리나라 대한 나라 한이새요 대한 나라/ 점령하야 산천지에 후천지는 억만 세계/ 모범이라 수지조정 은나서예 우리나라/ 대한나라 조선 한국 생겼으니 경상북도/ 돌아들어 상주군을 접어들 때 공검면을/ 접어들어 동네 정면 늘밤에다 대동안을/ 점령할 때 국사봉에 신령님네 용문산/ 산신님네 오봉산 산신님과 고들바우/ 미륵님네 신수바우 미륵님네 약사여래/ 약사도사 요황님께 하회동실 일모동창/ 하실 적에 금년 해우는 신유년이요 달수로는/ 칠월상달 칠월상달 오늘날로 초이틀에/ 생사생기 하니시요 불법 지자 대명당에/ 오신 손님 이 좌석에 앉아서러 이 제자에/ 아 얻는 소리 듣자 하야 글로 두고 오났니/ 금일 저녁 좋은 발은 뜨리오니 우리 당아/ 명남돌이 대도리에 우리 북천마라 대동안에/ 앞도 당산 수굴매기 뒷도 당산에 발보살님/ 사천왕에 문을 열 때 당아 마가정중 오복이요/ 명당마중 재수 줄 때 불법 제자 이 공자는/ 하루 일기 다 못 외고 세상 분별 다 못 외고/ 하나님은 아버지 지하국은 어먼님네/ 아니시요 일곱 칠성 칠성님네 명산대처/ 산신님네 이십팔소 사난대신 동서야 남북에/ 요황님네 하와동시 밀모동참 나실 적에/ 대한국에 점령하야 불법 제자 내여실 땐/ 무슨 일을 모르리 우리 선신 제자/ 방방곡곡 다 댕기고 면면촌촌 다 댕길 때/ 억조창생 만민들을 건즈낼 때 죽는 중생/ 살려 주고 병든 중생 곤쳐 주고 소원자에/ 소원 줄 때 없는 자궁은 생남 생녀를 부라 주고/ 있는 자궁은 일추월장 길러 주고 약한 자는/ 선심 복록 내라 주고 선인자는 만복록을/ 점지하시고 양모쪼록 가신나만 당아/ 억조창생 만민들은 하나같이 건지실 때/ 하늘 아래 사는 중생 하석먹는 중생들을/ 하루에도 열천 가지 죄를 져고 백만 가지/ 죄를 졋네 이 죄목은 낱낱이도 몽아다가 당아/ 동서남북에 소멸하고 선심 복록 선인 복록/ 만복록에 후이기여 아름답기 주실 적에는/ 이복아들을 당아 하늘 아래 사는 중생/ 이 중생들 하나 같이도 건지 내고 하나같이/ 도와실 때 금년 해운 시 당아 오만 년의/ 운이 되야 우리나라 대한국에다 방방곡곡/ 노인이로다 당아 노인 모아 공덕 주고/ 당아 중년 모아 하련하야 억조창생/ 만민들을 건지 내니 대중생을 대해 주고/ 억조창생 만민들을 한맘 한뜻 아무쪼록/ 가시나 우리나라 대한 나라 임금님네/ 백성 몸이 한몸에 한뜻으로 알뜰살뜰/ 해여 가이고 만복록에 부귀 공명 대대로도/ 영광이니 주옵소사 나무아미타불 오십삼불/ 부처님네 관세음보살 부처님네 서가여래/ 노자님네 미륵존불 시주님네 하와동심/ 밀모동참하옵소사.”
재수굿은 정초 또는 봄·가을에 하는데 굿 날짜는 가족의 생기복덕(生氣福德)에 맞추어 결정한다. 정기적으로 해마다 또는 3년에 한 번씩 하는 것이 보통이지만 집안에 우환이 생긴 경우에는 재수를 빌기 위하여 특별히 굿을 하기도 한다.
사회가 변함에 따라 재수굿을 하는 경우는 찾아보기 어려우며, 「재수굿노래」의 전승도 확인하기 어려운 상태이다.
「재수굿노래」는 신과 인간을 고루 대접함으로써 집안의 편안함과 다복함을 계속 유지하려는 인간의 욕망을 보여 주는 사례라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