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9101441 |
---|---|
한자 | 尙州 洛東里 碑石群 |
분야 |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적/비 |
지역 | 경상북도 상주시 낙동면 낙동3길 14-5[낙동리 128-1]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이창국 |
건립 시기/일시 | 1813년 - 목사 이장소 영세불망비 건립 |
---|---|
건립 시기/일시 | 1849년 - 경거 최두헌 은덕불망비 건립 |
건립 시기/일시 | 1853년 - 목사 박제소 영세불망비 건립 |
건립 시기/일시 | 1856년 - 목사 홍종무 영세불망비 건립 |
건립 시기/일시 | 1876년 - 목사 홍우경 영세불망비 건립 |
건립 시기/일시 | 1881년 - 이방 박의봉 송덕불망비 건립 |
건립 시기/일시 | 1895년 - 목사 이만윤 선정비 건립 |
건립 시기/일시 | 1900년 - 이방 박만식 비 건립 |
현 소재지 | 상주 낙동리 비석군 - 경상북도 상주시 낙동면 낙동3길 14-5[낙동리 128-1] |
성격 | 선정비 |
크기(높이, 너비, 두께) | 높이 97㎝, 너비 46~48㎝, 두께 12.5㎝[목사 이만윤 선정비 비신]|높이 40㎝, 너비 59㎝, 두께 15㎝[목사 이만윤 선정비 관석]|높이 132㎝, 너비 45㎝, 두께 17㎝[목사 홍주 영세불망비]|높이 88㎝, 너비 44㎝, 두께 10㎝[목사 홍종무 영세불망비 비신]|높이 40㎝, 너비 54㎝, 두께 14㎝[목사 홍종무 영세불망비 관석]|높이 76㎝, 너비 42㎝, 두께 11㎝[목사 박제소 영세불망비 비신]|높이 40㎝, 너비 52㎝, 두께 16㎝[목사 박제소 영세불망비 관석]|높이 62㎝, 너비 44㎝, 두께 11㎝[이방 박의봉 송덕불망비 비신]|높이 38㎝, 너비 55㎝, 두께 12㎝[이방 박의봉 송덕불망비 관석]|높이 65㎝, 너비 40㎝, 두께 13㎝[경거 최두헌 은덕불망비 비신]|높이 31㎝, 너비 45㎝, 두께 18㎝[경거 최두헌 은덕불망비 관석]|높이 70㎝, 너비 43㎝, 두께 16㎝[목사 이장소 영세불망비 비신]|높이 30㎝, 너비 51㎝, 두께 21㎝[목사 이장소 영세불망비 관석]|높이 100㎝, 너비 50㎝, 두께 13㎝[목사 홍우경 영세불망비]|높이 78㎝, 너비 36㎝, 두께 11㎝[이방 박만식 비] |
[정의]
경상북도 상주시 낙동면 낙동리 낙동중학교에 있는 조선 후기 선정비.
[개설]
상주 낙동리 비석군(尙州 洛東里 碑石群)은 경상북도 상주시 낙동면 낙동리 낙동중학교에 있으며, 불망비 5기, 선정비 1기, 은덕비·송덕비·기타 각 1기 등 총 9기의 선정비가 있다. 직위별로는 목사비 6기, 아전비 2기, 기타 1기이며. 건립 연대는 1813년(순조 13)에서 1895년(고종 32)까지이다.
[건립 경위]
상주 낙동리 비석군은 상주목사와 이방 등의 선정을 기리기 위하여 세워졌다. 특히 외동면과 진두리의 주민들이 세운 비석 4기가 있는데, 진두리는 낙동강을 이용한 영남 화물의 집산지로서 소금·해산물·미곡·조곡 등의 이동 거점으로 기능하였으며, 발달한 장 및 객주촌 등이 있는 상업 취락이었다.
[위치]
상주 낙동리 비석군은 경상북도 상주시 낙동면 낙동3길 14-5[낙동리 128-1]에 있다. 낙동중학교의 정문 안 왼쪽 담장 앞에 9기의 비석이 일렬로 서 있다.
[형태]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9기의 선정비가 아래와 같이 있다.
1. 목사 이만윤 선정비(牧使 李晩胤 善政碑)
이만윤은 재임 기간이 1894년 10월부터 1895년 5월까지이다. 목사 이만윤 선정비는 비신과 관석(冠石)이 하나의 돌로 조성되었고, 비신은 높이 97㎝, 너비 46~48㎝, 두께 12.5㎝이며, 관석은 높이 40㎝, 너비 59㎝, 두께 15㎝이다.
2. 목사 홍주 영세불망비(牧使 洪疇 永世不忘碑)
홍주는 재임 기간이 1843년 7월부터 1847년 5월까지이다. 목사 홍주 영세불망비는 직수형(直首形)의 비신만 있으며, 높이 132㎝, 너비 45㎝, 두께 17㎝이다.
3. 목사 홍종무 영세불망비(牧使洪鍾茂永世不忘碑)
홍종무는 재임 기간이 1852년 7월부터 1855년 12월까지이다. 목사 홍종무 영세불망비는 비신과 관석이 하나의 돌로 조성되었고, 비신은 높이 88㎝, 너비 44㎝, 두께 10㎝이며, 관석은 높이 40㎝, 너비 54㎝, 두께 14㎝이다.
4. 목사 박제소 영세불망비(牧使 朴齊韶 永世不忘碑)
박제소는 재임 기간이 1850년 6월부터 1852년 6월까지이다. 목사 박제소 영세불망비는 비신과 관석이 하나의 돌로 조성되었고, 비신은 높이 76㎝, 너비 42㎝, 두께 11㎝이며, 관석은 높이 40㎝, 너비 52㎝, 두께 16㎝이다.
5. 이방 박의봉 송덕불망비(吏房 朴儀鳳 頌德不忘碑)
이방 박의봉 송덕불망비는 비신과 관석이 하나의 돌로 조성되었고, 비신은 높이 62㎝, 너비 44㎝, 두께 11㎝이며, 관석은 높이 38㎝, 너비 55㎝, 두께 12㎝이다.
6. 경거 최두헌 은덕불망비(京居 崔斗憲 恩德不忘碑)
경거 최두헌 은덕불망비는 비신과 관석이 하나의 돌로 조성되었고, 비신은 높이 65㎝, 너비 40㎝, 두께 13㎝이며, 관석은 높이 31㎝, 너비 45㎝, 두께 18㎝이다.
7. 목사 이장소 영세불망비(牧使 李章紹 永世不忘碑)
이장소는 재임 기간이 1808년 9월부터 1813년 7월까지이다. 목사 이장소 영세불망비는 비신과 관석이 하나의 돌로 조성되었고, 비신은 높이 70㎝, 너비 43㎝, 두께 16㎝이며, 관석은 높이 30㎝, 너비 51㎝, 두께 21㎝이다.
8. 목사 홍우경 영세불망비(牧使 洪祐慶 永世不忘碑)
홍우경은 재임 기간이 1874년 2월부터 1875년 7월까지이다. 목사 홍우경 영세불망비는 직수형(直首形)의 비신만 있으며, 높이 100㎝, 너비 50㎝, 두께 13㎝이다.
9. 이방 박만식 비(吏房 朴晩植 碑)
이방 박만식 비는 원수형(圓首形)의 비신만 있으며, 높이 78㎝, 너비 36㎝, 두께 11㎝이다. 현재 비신 하단부의 상당 부분이 시멘트로 매몰되어 있어 더 이상의 찬시(讚詩)는 확인이 어려운 상태이다.
[금석문]
1. 목사 이만윤 선정비는 1895년 세워졌다. 비신 전면 중앙에는 ‘목사 이공만윤 선정비(牧使 李公晩胤 善政碑)’, 오른쪽에는 ‘서막기성 유낙지상(庶瘼旣省 維洛之上)’, 왼쪽에는 ‘완호유전 독유이천(完戶猶全 獨有二天)’, 후면에는 ‘을미 팔월 일 진두리 립 도감 양재건 윤선하 지사인 박만우(乙未 八月 日 津頭里 立 都監 梁在健 尹善夏 知事人 朴萬瑀)’가 새겨져 있다.
2. 목사 홍주 영세불망비의 비신 전면 중앙에는 ‘목사 홍후주 영세불망비(牧使 洪侯疇 永世不忘碑)’, 오른쪽에는 ‘인균상역 혜흡낙반 동포쇄만 호조견반(仁均商域 惠洽洛畔 洞逋刷萬 戶租蠲半)’, 왼쪽에는 ‘휼피안옥 진아리한 백세난훤 각석용찬(恤彼犴獄 鎭我里閈 百世難諼 刻石庸讚)’이 새겨져 있다.
3. 목사 홍종무 영세불망비는 1856년 세워졌다. 비신 전면 중앙에는 ‘목사 홍후종무 영세불망비(牧使 洪侯鍾茂 永世不忘碑)’, 오른쪽에는 ‘사재인정 균시일역 낙진지촌 우피기택(四載仁政 均施一域 洛津之村 尤被其澤)’, 왼쪽에는 ‘견감적포 교구중막 영세갈망 자기편석((蠲減積逋 矯捄衆瘼 永世葛忘 玆紀片石)’, 후면에는 ‘병진사월 일 외동면 진두리 립(丙辰四月 日 外東面 津頭里 立)’이 새겨져 있다.
4. 목사 박제소 영세불망비는 1853년 세워졌다. 비신 전면 중앙에는 ‘목사 박후제소 영세불망비(牧使 朴侯齊韶 永世不忘碑)’, 오른쪽에는 ‘유승지범 불륵천사(歈乘之范 不泐千禩)’, 왼쪽에는 ‘영거지소 응어치혜(詠去之邵 應語治惠)’, 후면에는 ‘계축구월 일 진두리 립(癸丑九月 日 津頭里 立)’이 새겨져 있다.
5. 이방 박의봉 송덕불망비는 1881년 세워진 것으로 추정된다. 비신 전면 중앙에는 ‘이방 박의봉 송덕불망비(吏房 朴儀鳳 頌德不忘碑)’, 오른쪽에는 ‘사재거임 민읍치완(四載居任 民邑治完)’, 전면 왼쪽에는 ‘허심용물 각득기환(虛心容物 各得其歡)’, 후면에는 ‘신사 구월 일(辛巳 九月 日)’이 새겨져 있다.
6. 경거 최두헌 은덕불망비는 1849년 세워졌다. 비신 전면 중앙에는 ‘경거 최공두헌 은덕불망□(京居 崔公斗憲 恩德不忘□)’, 오른쪽에는 ‘횡□□□ 혜유아공 탄성표옥 잡의연동(橫□□□ 惠有我公 殫誠漂屋 帀義捐銅)’, 왼쪽에는 ‘내안사거 취망기공 일편지송 백세미궁(乃安斯㞐 就忘其功 一片之頌 百世靡窮)’, 후면에는 ‘도광 이십구년 기유 구월 일 진두리 립(道光 二十九年己酉 九月 日 津頭里 立)’이 새겨져 있다.
7. 목사 이장소 영세불망비는 1813년 세워졌다. 비신 전면 중앙에는 ‘목사 이후장소 영세불□□(牧使 李侯章紹 永世不□□)’, 오른쪽에는 ‘공이명옥송무관간이염이민구 불요위정지대체견요발속구황(公而明獄訟無寬簡而廉吏民俱 不撓爲政之大體蠲徭發粟捄荒)’, 왼쪽에는 ‘오재리관은신병부민왈하천사 막존비덕막구비언송자만구석(五載莅官恩信幷孚民曰何天士 莫尊匪德莫久匪言頌自萬口石)’, 후면에는 ‘가경 십팔년 계유 사월 일 외동면 립(嘉慶 十八年 癸酉 四月 日 外東面 立)’이 새겨져 있다. 현재 비신 하부가 시멘트로 매몰되어 있어 비문이 더 있는지는 알 수 없는 상태이다.
8. 목사 홍우경 영세불망비는 1876년 세워졌다. 비신 전면 중앙에는 ‘목사 홍후우경 영세불망□(牧使 洪侯祐慶 永世不忘□)’, 오른쪽에는 ‘이관제엄 시민여자(以寬濟嚴 視民如子)’, 왼쪽에는 ‘구세기복 은파천리(舊稅旣復 恩波千里)’, 오른쪽면에는 ‘병자 이월 십이일 립(丙子 二月 十二日 立)’이 새겨져 있다. 후면에는 글자를 지운 흔적이 남아 있다.
9. 이방 박만식 비는 1900년 세워졌다. 비신 전면 중앙에는 ‘이방 박만식 □□□□□(吏房 朴晩植 □□□□□)’, 오른쪽에는 ‘□□□전 기하능어 봉□□□ 접□□□(□□□瘨 其何能蘓 奉□□□ 接□□□)’, 왼쪽에는 ‘파시부족 각석난진 유□□□ 락□□□(播詩不足 刻石難盡 惟□□□ 洛□□□)’, 후면에는 ‘경자 윤팔월 일(庚子 閏八月 日)’이 새겨져 있다.
[현황]
상주 낙동리 비석군은 낙동 나루터 주위에 흩어져 있던 비들을 낙동중학교 건립 때 이건한 것이라고 한다. 모두 하부가 시멘트로 매몰되어 있으며, 비문 중 일부는 훼손되었거나 마모가 심하여 눈으로 판독이 어려운 상태이다.
[의의와 평가]
상주 낙동리 비석군은 조선 후기 외동면 지역민들의 고초와 더불어 지방관의 노력과 선정을 알려 주는 기초 자료가 된다. 또한 외동면 지역의 행정과 역사 자료로도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