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100522
한자 驛院
영어공식명칭 Yeogwon|Station Guesthouse
이칭/별칭 우역,역관,역참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경상북도 상주시
시대 조선/조선
집필자 이병훈

[정의]

경상북도 상주 지역에 있던 조선 시대 관영 교통·통신 및 숙박 시설.

[개설]

역(驛)은 국가의 명령과 공문서의 전달, 변방의 긴급한 군사 정보 및 외국 사신 왕래에 따른 영송(迎送)과 접대, 그리고 공공 물자의 운송 등을 위하여 설치된 교통 통신 기관으로 삼국 시대부터 존재하였다. 고려 시대에는 도로망과 역참제가 더욱 발전 정비되어 22개의 역도(驛道)에 525개의 역참이 설치되었다. 고려 시대 제도를 계승한 조선은 일부 역을 신설 및 개편하여 역도 및 역로망을 재편하였고, 15세기 41역도 543역 체제로 정비되었다. 각 역도는 종6품의 찰방(察紡) 또는 종9품의 역승(驛丞)이 관장하였고, 각 역에는 역리(驛吏)·역졸(驛卒)·역노비(驛奴婢)가 있었다. 역참에는 역사를 갖추었고 중요 교통의 요충지에는 왕래인들에게 숙박과 편의를 제공하는 교통 취락, 즉 역촌이 형성되었다. 또한 공무 여행자의 숙식이나 관료·귀족 등의 접대를 위한 역(驛)과 일반 여행자를 위한 원(院)도 설치하였다. 통상 역과 원을 합하여 역원이라 통칭하였다. 상주 지역의 역과 원은 옛 행정 구역인 상주목함창현으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상주 지역의 ‘역(驛)’]

역은 각종 공무 수행에 필요한 말과 공무 수행자들에게 숙식을 제공하는 곳이었다. 상주 지역에 설치된 역은 장수역(長水驛)을 중심으로 하는 장수도(長水道)에 속하여 있었다. 장수도 소속 역은 모두 소로(小路) 및 소역(小驛)으로 조선 시대 몇 차례 개편되었다. 그러나 개항 이후 우정국(郵政局)이 들어서고 우사(郵舍)가 신설되면서 기능을 잃고, 1894년 갑오개혁으로 모두 폐지되었다.

상주 지역의 역은 다음과 같았다. 먼저, 상주목의 역인 낙양역(洛陽驛)은 상주의 서쪽 3리[1.17㎞]에 있었다. 서쪽으로 낙서역까지 30리[11.8㎞]이며, 남쪽으로 낙평역까지 20리[7.85㎞], 동쪽으로 낙동역까지 40리[15.7㎞], 북쪽으로 낙원역까지 15리[5.9㎞]였다. 대마(大馬) 2필, 중마(中馬) 2필, 복마(卜馬) 5필이 있었으며, 역리(驛吏)는 94명, 노(奴) 52구, 비(婢) 16구가 있었다. 낙동역(洛東驛)은 상주의 동쪽 40리에 있었다. 서쪽으로 낙양역과 40리, 북쪽으로 낙원역과 40리, 동쪽으로 선산 연향역(延香驛)과 40리였다. 대마 3필, 중마 2필, 복마 8필, 역리 565명, 노 64구, 비 25구가 있었다. 낙평역(洛平驛)은 상주의 남쪽 25리에 있었다. 북쪽으로 낙양역과 20리, 남쪽으로 선산 안곡역(安谷驛)과 20리였다. 중마 2필, 복마 3필, 역리 50명, 노78구, 비 19구가 있었다. 낙서역(洛西驛)은 상주의 서쪽 30리에 있었다. 동쪽으로 낙양역과 30리, 서쪽으로 장림역과 20리였다. 중마 2필, 복마 4필, 역리 115명, 노 42구, 비 10구가 있었다. 낙원역(洛原驛)은 상주의 북쪽 12리[4.7㎞]에 있었다. 남쪽으로 낙양역과 15리, 동쪽으로 낙동역과 40리, 북쪽으로 함창 덕통역과 30리였다. 중마 2필, 복마 2필, 역리 129명, 노 27구, 비 9구가 있었다. 장림역(長林驛)은 상주의 서쪽 55리[21.6㎞]에 있었다. 동쪽으로 낙서역과 20리, 서쪽으로 충청도 보은 원남역(原南驛)과 50리였다. 중마 2필, 복마 5필, 역리 224명, 노 11구가 있었다.

함창현의 역으로는 덕통역(德通驛)이 있었다. 함창현의 동쪽 7리[2.74㎞]에 있으며, 문경 유곡역과는 20리 떨어져 있었다. 남쪽으로는 상주 낙원역과 30리, 동쪽으로는 예천 수산역과 30리 떨어져 있었다. 대마 2필, 중마 2필, 복마 4필이 있으며, 역리는 45명, 노는 11구가 있었다.

[상주 지역의 ‘원(院)’]

원은 일반 여행자를 위한 숙식 장소였다. 조선 전기에 많이 설치되었던 원은 점차 기능이 약화되면서 임진왜란 이후 대부분 사라졌고, 대신 주막이 설치되어 원의 역할을 담당하였다. 상주 지역의 원도 조선 후기에 이르러 모두 사라졌고, 지명만 남게 되었다.

상주목에는 25개의 원참(院站)이 있었다. 1786년(정조 10) 『상주목읍지』를 참고하면 당시 대부분의 원이 사라지고 죽현원과 공서원, 낙원발참, 낙동발참 등만 남아 있었다. 죽현원(竹峴院)은 오리원(梧里院)이라고도 하였는데 상주 남쪽 35리[13.7㎞]의 죽현 아래 있었으며, 공성원(功城院)은 상주의 남쪽 40리에 있었다. 낙동발참(洛東撥站)은 상주의 동쪽 37리[14.5㎞], 낙원발참(洛原撥站)은 상주의 북쪽 16리[6.28㎞]에 있었는데 각각 장수 1명과 군사 45명이 있었다. 그 외 남원(南院)은 상주 남쪽 2리[13.7㎞], 안빈원(安賓院)은 상주의 동쪽 11리[4.32㎞], 광제원(廣濟院)은 상주의 동쪽 19리[7.5㎞], 니두등원(泥豆等院)은 상주의 동쪽 36리[14㎞], 요제원(要濟院)은 상주의 동쪽 37리[14.5㎞], 양산지원(陽山旨院)은 상주의 남쪽 15리[5.9㎞], 흥왕원(興王院)은 상주의 남쪽 9리[3.53㎞], 서원(西院)은 상주의 서쪽 3리, 어암원(於巖院)은 상주의 서쪽 15리, 송원(松院)은 상주의 북쪽 26리[10.2㎞], 율원(栗院)은 상주의 서쪽 33리[12.96㎞], 부원(釜院)은 상주의 북쪽 8리, 북원(北院)은 상주의 북쪽 2리[0.78㎞], 당제원(唐梯院)은 상주의 북쪽 15리, 퇴산원(退山院)은 상주의 북쪽 42리[16.5㎞], 유등원(柳等院)은 상주의 남쪽 24리[9.4㎞], 대두원(大豆院)은 상주의 남쪽 24리, 중생원(重生院)은 상주의 서쪽 65리[25.5㎞], 장혜원(長惠院)은 상주의 서쪽 72리[28.2㎞], 동원(東院)은 상주의 서쪽 56리[21.9㎞], 반암원(班巖院)은 상주의 북쪽 57리[22.3㎞]에 있었다.

함창현에는 다방원(茶方院)이 현의 동쪽 8리[3.14㎞]에 있었고, 함제원(咸濟院)이 현의 서쪽 13리[5.1㎞]에 있었다. 당교원(唐橋院)은 당교 옆에 있었으며, 관천원(串川院)은 관천암에 있었다. 덕통발참(德通撥站)은 현의 동쪽 10리[3.9㎞]에 있으며 1명의 장수와 군졸 40명이 있었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