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100960
한자 權晙
영어공식명칭 Kwon Jun
이칭/별칭 계언(季彦),백인(百忍),권중환(權重煥),권중석(權重錫),강병수(姜炳秀),진민각(陳民覺),장종화(張從化),양무(揚武),장수화(張樹華)
분야 역사/근현대,인물/근현대 인물
유형 인물/의병·독립운동가
지역 경상북도 상주시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집필자 권대웅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895년 5월 12일연표보기 - 권준 출생
수학 시기/일시 1919년 - 권준 신흥무관학교 졸업
수학 시기/일시 1926년 - 권준 황포군관학교 수료
활동 시기/일시 1917년 - 권준 대한광복회 참여
활동 시기/일시 1921년 - 권준 의열단 조직
활동 시기/일시 1932년 - 권준 민족혁명당 가입
활동 시기/일시 1944년 - 권준 대한민국임시정부 내무부 차장 역임
활동 시기/일시 1945년 - 권준 광복군 5지대장 역임
활동 시기/일시 1945년 - 권준 수도사단장 겸 제3관구사령관 역임
몰년 시기/일시 1959년 10월 27일연표보기 - 권준 사망
추모 시기/일시 1968년 3월 1일연표보기 - 권준 건국훈장 독립장 추서
출생지 척동리 -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 척동리 지도보기
학교|수학지 신흥무관학교 - 중국
학교|수학지 황포군관학교 - 중국
활동지 중국 - 중국
묘소 국립서울현충원 - 서울특별시 동작구 현충로 210[동작동 산41-2]
성격 독립운동가
성별 남성
대표 경력 대한민국임시정부 내무부 차장

[정의]

일제 강점기 경상북도 상주 출신의 독립운동가.

[가계]

권준(權晙)[1895~1959]의 본관은 안동(安東)이며, 자는 계언(季彦), 호는 백인(百忍)이다. 독립운동에 참가하여 국내외에 걸쳐 활동하면서 권중환(權重煥)·권중석(權重錫)·강병수(姜炳秀)·진민각(陳民覺)·장종화(張從化)·양무(揚武)·장수화(張樹華) 등 여러 이름을 사용하였다. 큰아들은 독립운동가 권태휴(權泰烋)[1917~1990]이다.

[활동 사항]

권준은 1895년 5월 12일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 척동리에서 태어났다. 1917년 광복회(光復會) 조직에 참여하여 격렬한 항일투쟁을 전개하다가 1919년 만주로 망명하였다. 신흥무관학교를 졸업하고, 1921년 베이징[北京]에서 김원봉(金元鳳) 등 13인의 한 사람으로 의열단(義烈團)을 조직하였다. 권준은 군자금 조달, 폭탄 제조 등의 임무를 맡아 종로경찰서, 조선총독부, 동양척식주식회사 등의 폭탄 투척과 도쿄 이중교(二重橋) 투척 등을 적극 지원하였다.

권준은 1926년 황포군관학교(黃埔軍官學校)에서 군사훈련을 수료하고 북벌전(北伐戰)에 참전하였다. 1926년 한커우[漢口]에서 개최된 한국인, 중국인, 인도인, 몽고인, 안남인(安南人), 대만인 등으로 조직된 동방피압박민족연합회(東方被壓迫民族聯合會)에 한국 대표로 참석하여 집행위원에 선출되었다. 권준은 1932년에는 난징[南京]에서 중국 정부의 후원을 받아 한국인군사학교를 설립하고, 교관으로 활동하며 독립운동 간부를 양성하는 한편, 민족혁명당(民族革命黨)에 입당하여 활약하였다. 1934년에는 중국군 연장(連長)으로 독립운동을 측면 지원하면서 항일전에 참전하였다. 1944년 충칭[重慶]에서 임시정부에 들어가 내무부 차장에 임명되어 활약하다가 광복을 맞이하였다.

권준은 1945년 해방 후 무한지역교포선무단장(武漢地域僑胞宣撫團長)과 광복군(光復軍) 5지대장에 피임되어 동포의 생명과 재산의 보호에 전력하였다. 귀국하여 수도사단장(首都師團將) 겸 제3관구사령관(第三管區司令官)을 역임하였다.

권준은 1959년 10월 27일 사망하였다.

[묘소]

권준의 묘소는 서울 동작구 현충로 210[동작동 산41-2]의 국립서울현충원 독립유공자 묘역에 있다.

[상훈과 추모]

대한민국 정부는 권준의 공적을 기려 1968년 건국훈장 독립장을 추서하였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