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101117
한자 科學 技術
영어공식명칭 Scientific Technique
분야 정치·경제·사회/과학 기술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개관)
지역 경상북도 상주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이석형

[정의]

경상북도 상주시에서 시민들의 소득 증대를 위하여 연구 개발되고 있는 과학과 기술 및 관련 기관과 활동.

[개설]

과학 기술은 과학(科學)과 기술(技術)을 총칭하는 개념이다. 과학은 보편적 현상에 대하여 합리적 이해를 목적으로 수학과 실험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수행하는 지적 탐구 활동 및 그 결과물을 의미한다. 기술은 과학의 결과물로 축적된 기법을 활용하는 방법을 말한다. 과학은 기술의 발달을 촉진하고, 기술 역시 과학의 발전에 큰 영향을 미치는 등 과학과 기술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어 두 단어를 붙여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경상북도 상주시는 농업 집약적 기술을 주로 활용하는 지역으로, 농업과 관련된 다양한 과학 기술을 발전시키고 있다. 하얀 과 하얗게 분이 핀 곶감, 하얀 누에고치를 지칭하는 삼백(三白)의 고장으로 일컬어지는 상주시에는 누에고치를 연구하는 잠사곤충사업장과 감을 연구하는 감연구소가 있으며, 상주를 휘감아 흐르는 낙동강의 생물 자원을 연구하는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이 있다.

[현황]

1. 경상북도 농업자원관리원 잠사곤충사업장

경상북도 농업자원관리원 잠사곤충사업장양잠 산업 활성화 교육과 기능성 양잠 산업에 맞는 시험 연구 및 유전 자원 육성 관리, 농촌진흥청과 연계한 신품종 개발과 지역 적응 시험 연구 사업을 추진하여 잠사 농가의 생산 기술 강화와 소득 증대에 기여하고 있다. 즉, 화분 매개 곤충 증식·연구·공급을 통한 친환경 농업 육성에 기여하며, 지역곤충자원산업화지원센터 운영으로 화분 매개 곤충 시장 확대 및 곤충 산업 활성화에 기여하고 있다. 곤충 산업 수익 모델 개발을 위한 유용 곤충[갈색거저리 등 3종]을 시험 사육하고 뿔가위벌류 자연 개체 수 감소를 극복하기 위한 인공 증식에 관한 연구를 하고 있다.

2. 경상북도농업기술원 상주감연구소

경상북도 상주시 공성면에 있는 경상북도농업기술원 상주감연구소는 우리나라에서 유일하게 ‘떫은 감’을 연구하는 기관이다. 경상북도농업기술원 상주감연구소의 연구 목적은 농업인과 소비자의 기대에 부응하고 품질 좋은 감을 제공하는 것이다. 품질 좋은 감의 개발을 통하여 감의 부가가치를 창출하고 감의 소비를 촉진하기 위한 가공품을 개발하는 것 등에 역점을 두고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연구소의 주요 연구 내용은 국내외 우량 유전 자원의 보존과 품종화 연구, 씨 없는 둥시 품종, 둥시형 준시 품종 육성, 뿌리혹병 저항성 대목 품종의 육성으로 재배 안정 확보, 감의 결실 생리 구명 및 씨 없는 감 생산 기술 개발, 훈증 대체 기술 개발 및 고품위 곶감 생산 환경 관리 체계 확립, 저장, 유통 기술 개발로 차별화된 명품 생산 기반 구축, 주요 병해충 방제 체계 확립으로 안정 생산 기술 개발, 감 우량 신품종 육성 연구, 유전 자원 수집, 특성 검정으로 신품종 육성 기반 구축, 용도별 경쟁력 있는 한국 고유의 고품질 품종 육성, 감 주요 병해충 방제 체계 확립 등이다.

경상북도농업기술원 상주감연구소는 일련의 연구를 통하여 감의 우량 품종을 육성하고, 재배 및 가공 기술을 개발하여 경쟁력 향상과 소비 창출로서 농가 소득 향상에 기여하고 있다.

3.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경상북도 상주시 도남동에 있는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은 국가 생물 주권을 확립하기 위하여 담수 환경에 존재하는 다양한 생물 자원[동식물, 조류, 균류, 원핵생물]을 발굴하고 있다.

다양한 생물 자원의 발굴을 위하여 담수 생물 다양성[종, 서식지, 유전] 조사·분석 및 보전과, 환경 변화[기후 변화, 환경 교란 등]에 따른 담수 생물 분포 및 다양성 변화에 대한 연구를 통하여 담수 생물 신종 및 미기록종을 발굴하고 있다. 기후 변화와 하천 생태계 훼손[교란]에 대한 과학적 대응을 위한 소하천·지류·지천 중심의 담수에 대한 연구도 진행하며, 환경 교란 유형별 담수 생물 다양성을 집중 조사 및 분석한다. 또한 담수 생태계의 담수 생물종의 선호 서식 환경을 분석하는 등 담수 생물의 유전자·유전체 확보·분석 및 활용에 관한 연구를 통하여 서식지 유형·교란 요인별 생물 다양성 변화 방향 예측 및 기후 위기 영향 저감을 위한 방안을 마련하고 있다. 이외에도 공검지 퇴적토를 시추하여, 돌말류·저서성 대형 무척추동물·화분·원생생물을 대상으로 고생물생상을 분석하여 우리나라 습지 퇴적토의 고생물상 및 고환경을 연구하고 있다.

[참고문헌]
  • 경상북도농업기술원(https://www.gba.go.kr)
  • 경상북도잠사곤충사업장(https://www.gb.go.kr)
  •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https://www.nnibr.re.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