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9100728 |
---|---|
한자 | 輿地圖 尙州牧 咸昌縣 |
영어공식명칭 | Sangju-mok·Hanmchang-hyun map of Yeojido |
분야 | 지리/인문 지리,문화유산/기록 유산 |
유형 | 문헌/문서 |
지역 | 경상북도 상주시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이재두 |
[정의]
18세기 중엽에 제작된 회화식 채색 지도첩에 수록된 상주목과 함창현 등의 지도.
[개설]
『여지도(輿地圖)』는 18세기 중엽 중앙 정부에서 전국 각 고을의 지리 정보를 파악하기 위하여 제작한 회화식 지도첩이다.
[제작 발급 경위]
『여지도』의 제작 시기는 「안음현(安陰縣)」과 「호남도」의 금성(錦城)을 통하여 추정할 수 있다. 안음현은 1728년(영조 4)에 혁파되었다가 1736년에 복구되었으며, 1767년(영조 43)에 안의현(安義縣)으로 개칭되었다. 나주목은 1729년 금성현(錦城縣)으로 강등되었다가 1738년 다시 나주목(羅州牧)으로 승격하였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면, 『여지도(輿地圖)』는 1730년대 중엽에 제작한 것으로 추정된다. 다만 군현지도에는 「나주목」으로 되어 있어 정확한 시기를 단정하기는 어렵다.
[형태]
『여지도』는 회화식 채색 지도첩으로 첩의 크기는 세로 26.5㎝, 가로 19.1㎝이며, 내곽선의 크기는 세로 19.0㎝, 가로 15.3㎝이다. 지도 364장, 주기 341장 등 모두 705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책에 「요계관방지도(遼薊關防地圖)」와 「성경여지전도(盛京輿地全圖)」, 제6책에 「조선여진양국국계도(朝鮮女眞兩國國界圖)」가 수록되어 있으며, 경상도 상주목 지역을 포함한 경상도 각 고을은 제4책에 수록되어 있다.
[구성/내용]
『여지도』 「상주목」·「함창현」은 두 고을의 면적 차이가 크게 나지만 각각 1장에 표시하여 『여지도』 「상주목」보다 『여지도』 「함창현」이 더 상세하다. 『여지도』 「상주목」은 읍성과 북천 사이의 임수를 자세하게 그렸으며, 면은 노란색 사각형, 역은 붉은색 사각형으로 표시하였다. 낙양역에는 사각형과 칠을 빠졌으며, 화서면은 붉은색 사각형으로 잘못 표시하였다. 읍성 안에는 사대문을 그렸으며, 읍성 안에는 왕산·객사·군기(軍器)·아(衙)를 표시하였다. 뒷면의 주기에는 인호(人戶) 2만 3251호에 이어 전결, 곡물 총수(穀物 摠數), 군병 총수(軍兵 摠數), 성곽 둘레[3883척], 창고[19곳]를 기재한 뒤, 관문으로부터 봉수, 주변 고을 경계와 각 면까지의 거리를 주기(注記)하였다.
『여지도』 「함창현」 읍치에는 객사·북망정·아사·명은루(明隱樓)·육영당·선월정·열무정 등을 건물 그림과 함께 상세히 기재하였으며, 남면의 공검지는 규모보다 작게 묘사되어 있다. 『지승』 「함창현」처럼 현내면·서면·하서면·남면만 표시하였으며, 『해동지도』에 표시된 동면과 북면은 보이지 않는다. 그러나 주기에는 북면과 동면까지의 초경(初境)과 종경(終境)의 거리를 기재하였다. 주기에 의하면 원호가 2,621호인데, 1789년 통계를 반영한 『호구총수』의 2,638호와 비슷하다. 성곽은 없고, 창고가 두 곳이다.
[의의와 평가]
18세기 경상도 상주 지역의 자연과 인문 환경 등을 한눈에 확인할 수 있는 자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