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9100738 |
---|---|
한자 | 慶尙道邑誌 尙州鎭尙州牧 尙州鎭咸昌縣 |
영어공식명칭 | Gyeongsang-do Eupji Sangju-jin Sangju-mok Sangju-Jin Hamchang-hyun |
분야 | 문화·교육/언론·출판,문화유산/기록 유산 |
유형 | 문헌/전적 |
지역 | 경상북도 상주시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이재두 |
편찬 시기/일시 | 1786년 - 『경상도읍지』「상주진상주목」·「상주진함창현」 편찬 |
---|---|
소장처 | 일본 덴리대학 덴리도서관 이마니시문고 - 일본 나라현 덴리시 하노우치초 1050 |
소장처 | 상주박물관 - 경상북도 상주시 사벌국면 경천로 684[삼덕리 산86] |
소장처 |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 서울특별시 관악구 관악로 1[신림동 산56-1] |
소장처 | 고려대학교 중앙도서관 - 서울특별시 성북구 안암로 145[안암동5가 1-2] |
소장처 | 일본 국립국회도서관 - 일본 도쿄도 지요다구 나가타초 1-10-1 |
성격 | 읍지 |
편자 | 상주목사|함창현감 |
간행자 | 경상감영 |
행자 | 20행 20자 |
규격 | 30.3㎝[세로]|19.9㎝[가로] |
어미 | 내향이엽화문어미(內向二葉花紋魚尾) |
권수제 | 상주진상주목(尙州鎭尙州牧)|상주진함창현(尙州鎭咸昌縣) |
[정의]
1786년 규장각과 경상감영의 지시로 편찬한 상주목과 함창현의 관찬 읍지.
[개설]
『경상도읍지(慶尙道邑誌)』 「상주진상주목(尙州鎭尙州牧)」·「상주진함창현(尙州鎭咸昌縣)」은, 모든 고을 읍지를 하나의 유형으로 일치시키기는 1832년 이전의 과도기적인 모습을 잘 보여 준다. 1768년에 『여지도서(輿地圖書)』 대체 유형[『경상도읍지』 유형]의 수록 규정이 보급되었지만, 『경상도읍지』 「상주진상주목」은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경상도읍지』 「상주진함창현」은 『여지도서』 경상도 유형을 기준으로 수록 항목을 적절히 추가하였다. 현재 일본 덴리대학[天理大學] 덴리도서관[天理圖書館] 이마니시문고[今西文庫]에 소장되어 있으며, 마이크로필름으로 제작되어 있다. 이마니시문고의 경상도 각 고을 읍지는 동일한 인찰지(印札紙)에 다시 정서한 것이며, 지도를 싣지 않았다.
[저자]
『경상도읍지』 「상주진상주목」·「상주진함창현」은 상주목사와 함창현감 주도로 편찬되었다.
[편찬/간행 경위]
『경상도읍지』 「상주진상주목」·「상주진함창현」은 1786년 규장각과 경상감영의 지시로 전국 읍지 편찬 사업이 추진될 때 상주목과 함창현에서 편찬한 것이다. 각 도 감영은 관내 각 고을 지방관이 주도하여 편찬한 읍지를 엮어 중앙 정부에 보고하였다.
2023년 현재 상주박물관은 1786년 당시 편찬한 『상산지병오초책(商山誌丙午草冊)』을 위탁받아 소장하고 있다. 고려대학교 중앙도서관의 『상주읍지』는 붉은색 인찰지에 장당 20행 20자로 필사한 36장 분량이며, ‘흥암서원이건시상량문(興巖書院移建時上樑文)’ 뒷부분과 책판 항목이 실린 마지막 장이 빠져 있다. 1786년 당시 편찬한 원본으로 여겨진다.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의 『함창현읍지』는 이마니시문고본을 베낀 후사본이다. 일본 국립국회도서관의 『경상도읍지』 권24 「상주목지」, 권26-1 「상주진관함창현」은 이마니시문고본을 세주(細註) 구분 없이 내용 위주로 베낀 것이다.
2015년 상주박물관에서 기획하여 펴낸 『상산지병오초책』은 중앙 정부에 보고하고 난 뒤, 지역 사회에 남겨진 읍지로 구당지(舊堂誌) 혹은 구당본(舊堂本)이라고도 한다. 환적이 1785년에 부임한 심기태(沈基泰)까지인데, 이마니시문고본과 고려대학교본은 1784년에 부임한 김이신(金履信)까지이다. 한편 1789년에 편찬한 『영남읍지』 전16책은 제16책의 「경상감영지」와 71개 고을의 모든 읍지를 포함하고 있다. 『영남읍지』 「상주진상주목」은 제4책, 『영남읍지』 「상주진관함창현」은 제12책에 합철되어 있으며, 회화식 채색지도를 싣고 있다. 일본 국립국회도서관이 소장하고 있다.
[형태/서지]
『경상도읍지』 「상주진상주목」·「상주진함창현」은 각각 이마니시문고 『창원지(昌原誌)』와 『문경현지(聞慶縣誌)』에 합철되어 있다. 『창원지』에는 「창원대도호부」와 「상주진상주목」이, 『문경현지』에는 「문경현지」, 「상주진함창현」, 「지례현」, 「안의현읍지」가 수록되어 있다. 판식은 사주 쌍변(四周 雙邊)이며, 내향이엽화문어미(內向二葉花紋魚尾)이다. 크기는 세로 30.3㎝, 가로 19.9㎝이다. 장당 20행에 1행의 자수는 20자이다. 주(註)는 쌍행(雙行)이며, 지도는 수록되어 있지 않다. 분량은 「상주진상주목」 36장, 「상주진함창현」은 17장이다.
[구성/내용]
『경상도읍지』 「상주진상주목」은 『여지도서』처럼 권수제로 제시한 상주진상주목(尙州鎭尙州牧) 아래에 세주(細註)로 ‘강역(彊域)’을 열거하였다. 수록 항목은 속현과 진관을 포함한 건치 연혁, 관원, 군명, 성씨, 풍속, 형승, 산천, 토산, 진공(進貢), 성곽, 관애(關隘), 진보[무(無)], 봉수, 면리(面里), 호구, 전부(田賦), 봉름(俸廩), 군액(軍額), 창고, 단사(壇祠), 학교, 궁실, 공서(公署), 누정, 역원, 교량(橋梁), 도로, 도서[무], 제언, 장시, 목장, 불우, 고적, 환적(宦蹟), 과제(科第), 인물, 충절, 효자, 열녀, 총묘, 제영, 어필비각(御筆碑閣), 책판(冊板) 순이다. 『신증동국여지승람』 수록 항목에 1768년에 보급한 『여지도서』 대체 유형[『경상도읍지』 유형] 수록 항목을 반영하였다.
『경상도읍지』 「상주진함창현」도 권수제 아래에 세주로 ‘강역’을 열거하였다. 수록 항목은 방리, 도로, 건치연혁, 군명, 형승, 관직, 산천, 성씨, 풍속, 구증궁실(舊增宮室), 사묘, 공해(公廨), 제언, 창고, 토산, 교량, 역원, 목장, 봉수, 누정, 불우, 고적, 명환, 인물, 절의(節義), 효자, 효녀, 열녀, 관적(官蹟), 과거, 제영, 능묘(陵墓), 장시, 한전(旱田), 수전, 진공, 조적(糶糴), 전세(田稅), 대동목(大同木), 봉름관수(俸廩官需), 대동저치(大同儲置), 시탄(柴炭), 계치(鷄雉), 군병(軍兵), 도서(島嶼)[무], 진보(鎭堡)[무], 관방(關防)[무] 순이다. 『여지도서』 경상도 유형에 1768년에 보급한 『여지도서』 대체 유형 수록 항목을 반영하였다.
[의의와 평가]
1832년에 모든 고을의 읍지를 『경상도읍지』 유형으로 일치시키기 이전의 과도기적인 모습을 보여 주는 점에서 읍지 발달사에 있어 큰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