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9101306 |
---|---|
한자 | 下松一里 洞祭 |
영어공식명칭 | Religious Ritual for the Village Tutelary Spirit in Hasong-il-ri |
분야 | 생활·민속/민속,문화유산/무형 유산 |
유형 | 의례/제 |
지역 | 경상북도 상주시 화서면 하송리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이인균 |
의례 장소 | 선신당|동제당 -
경상북도 상주시 화서면 하송리
![]() |
---|---|
성격 | 민속신앙|마을 제사|민속 의례 |
의례 시기/일시 | 정월 열나흗날 |
신당/신체 | 선신당|느티나무 |
경상북도 상주시 화서면 하송리에서 정월 열나흗날에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하송1리 동제(下松1里 洞祭)는 경상북도 상주시 화서면 하송리의 하송1리 청계마을 주민들이 마을의 평안을 기원하고자 지내는 마을 제사이다. 제사는 해마다 정월 열나흗날 밤에 마을 안의 ‘선신당’과 ‘동제당’에서 지내고 있다.
하송1리 동제가 언제부터 시작되었는지는 알 수 없으나, 마을의 수호신으로 견훤왕을 모시고 있고, 제당인 선신당을 1843년 중창하였다는 기록으로 보아 역사가 오래되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과거에는 해마다 두 번의 제사를 지냈다고 하는데, 2007년부터는 간소화하여 정월 열나흗날 한 번만 지내고 있다.
하송1리 동제의 신당은 ‘선신당’으로 불리우며, 다른 마을 동제와 달리 역사상 실존하였던 인물인 견훤(甄萱)[867~936]을 동신으로 모시고 있다. 선신당은 견훤뿐 아니라 견훤의 두 부인도 함께 모시고 있으며, 마을 주민들은 ‘산지당[산제당]’ 또는 ‘산신당’이라 부르고 있다. 선신당은 막돌 기단에 자연석 주춧돌로 이루어져 있으며, 앞면 한 칸, 정면 두 칸의 일자형 건물이다. 세워진 시기는 알 수 없으나, 상량문에 1843년 중창을 하였다고 기록하고 있다. 신당 안에는 ‘후백제 대왕 신위(後百濟 大王 神位)’라는 위패도 놓여 있다.
동제당의 신체는 마을 어귀에 있는 느티나무인데, 원래 모시던 느티나무가 말라 죽어 현재의 나무로 바뀌었다.
정월 열흘날이 되면 마을에서 청렴한 두 사람을 뽑아 제관으로 선정하는 것으로 동제 준비가 시작된다. 제관은 정월 열나흗날 새벽에 금줄을 마을 어귀, 선신당 입구, 동구나무, 제관 집 앞에 치고, 황토를 마을 어귀와 제관 집에 뿌린다. 제물은 삼실과, 탕국, 돼지고기, 포, 콩시루떡, 백설기, 소주 등을 쓰고 있으며, 현재는 간소화한 상태이다. 제삿날 밤 11시가 되면 제물을 선신당으로 옮겨 준비하고, 유교식 절차에 따라 제를 지낸다. 축문은 2001년에 만들어 활용하고 있으며, 소지를 올리고 선신당에서 모시는 제는 끝이 난다.
선신당에서 제를 지낸 후 동제당으로 옮겨 제물을 차리고 제를 지낸다. 제물로는 백설기와 돼지고기 대신에 명태를 쓴다. 제를 모두 마무리하면 음복을 한다. 이튿날에는 마을 주민 모두 마을회관에 모여 음복을 진행한다.
하송1리 동제의 축문은 2001년에 따로 만든 것으로 활용하고 있는데, 그전까지 축문을 작성하고자 하여도 왕에게 올리는 축문이기에 본보기를 구하기 어려웠다고 한다.
하송1리 동제는 제를 끝낸 후 음복을 진행하고 있으며, 따로이 마을 행사를 진행하진 않는다.
하송1리 동제는 현재까지 지속적으로 운영되고 있다. 2021년 동제를 지낸 후 마을 여건상 어려움이 있어 중단될 뻔하였으나, 마을 어른이 동제를 지속하려고 애쓴 덕에 중단되지 않고 꾸준히 지속되고 있으며, 다른 몇 명의 마을 사람도 힘을 더하여 함께 제를 지내고 있다. 상주시에서도 하송1리 동제의 유지를 위하여 2022년부터 예산을 지원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