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9100534 |
---|---|
한자 | 鄕所部曲 |
영어공식명칭 | Hyang, so, and bugok |
이칭/별칭 | 부곡제 |
분야 | 역사/전통 시대 |
유형 | 제도/법령과 제도 |
지역 | 경상북도 상주시 |
시대 | 고려/고려 |
집필자 | 배상현 |
[정의]
고려 시대 경상북도 상주 지역에 있던 특수 행정 구역.
[개설]
고려 시대 지방 행정 구조에는 일반 군(郡)·현(縣) 외 특수 행정 구역으로 향(鄕)·소(所)·부곡(部曲)·장(莊)·처(處) 등이 존재하였다. 통상 부곡제(部曲制) 지역으로도 불렸으며, 거주하는 사람들은 양인이지만 온전한 양인의 대접을 받지는 못하였다. 그러나 천인인 노비와 달리 성씨(姓氏)를 갖고 가족을 거느리는 등 독자의 가계를 꾸리고 국가에 세금을 내는 양인이자 공민(公民)이었다. 『경상도지리지(慶尙道地理志)』, 『세종실록(世宗實錄)』,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 등의 자료를 통하여 주읍(主邑)인 상주목에는 15개의 부곡제가 있었음이 확인된다. 다만 상주의 영현인 경우 안정현(安定縣)·어모현(禦侮縣)·청리현(靑里縣)·가은현(加恩縣)·부계현(缶溪縣) 등에는 부곡이 존재하지 않았다.
[형성 및 변천]
상주는 983년(고려 성종 2) 12목(牧) 가운데 하나였다. 이후 995년(고려 성종 14) 절도사제(節度使制)·주현제(州縣制) 시행과 같은 몇 차례 변화를 거쳤으며, 고려 국가의 지방 제도가 기틀을 잡은 1018년(고려 현종 9) 전국 8개 목 가운데 하나인 계수관(界首官)으로 자리매김하였다. 광역의 지방 행정 운영 체계로서 계수관제는 ‘수관읍(首官邑)-주현(州縣)-속현(屬縣)’, ‘군현-부곡제’ 관계를 기축으로 하였으며, 하부구조로서 다수의 부곡제 지역이 포함되었다.
이 가운데 향·부곡은 주로 농업에 종사하는 지역으로 고대로부터 존재하였지만, 수공업 생산 등을 담당한 소(所) 지역은 고려 이후에 성립된 것으로 이해되고 있다. 한편 조선 시대에 들어와 부곡제 지역은 중앙의 통치 체제 강화 조치와 향촌 사회의 성장이 맞물리면서 대부분 소멸되어 면리제(面里制)로 편입되어 갔다.
[관련 기록]
고려 시대 상주 지역 향소부곡민들의 삶의 양태를 짐작하게 하여 주는 기록으로는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권7 여주목 고적 등신장 조가 있다. “지금 살펴보건대, 신라가 주(州)와 군(郡)을 설치할 때 전정(田丁)과 호구(戶口)가 현(縣)이 될 수 없는 곳을 향이나 부곡으로 삼아, 이들이 있었던 군현에 소속시켰다. 고려 때 소라 불리는 곳이 있었는데…… 해당 생산물을 공납하였다. 또한, 처(處)나 장(莊)으로 부르는 곳이 있는데, 각기 궁원(宮院)이나 사원(寺院) 및 내장댁(內莊宅)에 나누어 속하게 하여 세를 바쳤다. 이상의 여러 단위에는 토착하는 향리와 백성이 있었다.”
또한, 『신증동국여지승람』 권28 상주목 고적 조에는 상주목 부곡제 지역의 위치를 “무림부곡(茂林部曲)은 주(州)의 북쪽 30리[약 12㎞] 지점에 있는데 예전 무흥촌(茂興村)이었다. 연산부곡(連山部曲)은 낙동강 동쪽 5리[약 2㎞] 지점에 위치하며 소금창고[鹽倉]가 있었다. 백원부곡(白原部曲)과 가량부곡(加良部曲)은 모두 주의 남쪽 15리[약 6㎞] 지점에 있었다. 양녕부곡(壤寧部曲)과 하해부곡(河海部曲)은 본 주에 있었다. 양보부곡(陽寶部曲)은 산양현(山陽縣)에, 관제부곡(寬濟部曲)은 화령현(化寜縣)에 있었다. 보량부곡(保良部曲)은 주의 동쪽 20리[약 8㎞]에 있었다. 평안부곡(平安部曲)과 평산부곡(平山部曲)은 공성현(功城縣)에 있었다. 주선부곡(主善部曲)·단곡부곡(丹谷部曲)·생물부곡(生物部曲)은 모두 단밀현(丹密縣)에 있었다. 그리고 선은소(鐥銀所)는 화령현(化寜縣)에, 해상이소(海上伊所)는 중모현(中牟縣)에 자리 잡고 있다”라고 언급하고 있다.
한편, 고려 시대 상주 지역 소(所)의 분포를 알 수 있는 기록으로는, 『세종실록』 권150, 지리지 경상도 상주목 조가 있다. “자기소(磁器所)가 세 곳이니, 하나는 중모현 북쪽 추현리(楸縣里)에 있고, 하나는 중모현 동쪽 이미외리(已未隈里)에 있고, 하나는 공성현(功城縣) 서쪽 원동(院洞)에 있다. 도기소(陶器所)가 두 곳이니, 하나는 주(州) 서쪽 벌을야리(伐乙夜里)에 있고, 하나는 단밀현(丹密縣) 단곡(丹谷)에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