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9100727
한자 尙州牧邑誌
영어공식명칭 Sangju-mok Eupji
분야 문화·교육/언론·출판,문화유산/기록 유산
유형 문헌/전적
지역 경상북도 상주시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이재두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소장처 국립중앙도서관 - 서울특별시 서초구 반포대로 201[반포동 60-1]
소장처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서울특별시 관악구 관악로 1[신림동 산56-1]
소장처 계명대학교 동산도서관 벽오고문헌실 - 대구광역시 달서구 달구벌대로 1095[신당동 1000-2]
소장처 상주박물관 - 경상북도 상주시 사벌국면 경천로 684[삼덕리 361]지도보기
성격 읍지
편자 상주목사

[정의]

조선 후기 편찬된 상주목의 관찬 읍지 7종.

[개설]

『상주목읍지(尙州牧邑誌)』는 조선 후기 상주목에서 편찬한 관찬 읍지로 대체로 내지 제목[권수제]이 ‘상주진상주목’이나 ‘상주목읍지’이다. 그러나 표지 제목을 ‘상산읍지’, ‘상산지’, ‘상주읍지’ 등으로 제시하기도 하였다. 대체로 ‘상주진상주목’은 18세기 후반인 1760년, 1775년, 1786년에 편찬한 읍지이거나 이런 읍지를 베낀 것이다. ‘상주목읍지’는 1832년에 편찬한 『경상도읍지』 「상주목읍지」를 바탕으로 편찬한 것이다.

[저자]

『상주목읍지』는 조목수(趙沐洙), 강세은(姜世誾), 성석대(成錫大) 등 상주 사족과 역대 상주목사에 의하여 편찬되었다.

[편찬/간행 경위]

조선 후기 상주목은 숙종 초기부터 시작한 중앙 정부의 전국 읍지 편찬 사업 때마다 관찬 읍지를 편찬하여 보고하였다. 현재 『여지도서』 「상주진상주목」[1760], 『경상도읍지』 「상주진상주목」[1786], 『영남읍지』 「상주진상주목」[1789], 『경상도읍지』 「상주목읍지」[1832], 『경상도읍지』 「상주목읍지」[1878], 『영남읍지』 「상주목읍지」[1895], 『상주군읍지』[1899] 등 도별 읍지에 포함된 7종이 전한다. 『영남읍지』[1871]도 「상주목읍지」를 포함하고 있었으나 분실하였다.

현재 각 기관이 소장하고 있는 『상주목읍지』 등은 전국 읍지 편찬 사업 때의 읍지 초고본(草稿本) 또는 후사본(後寫本)이거나, 이런 읍지의 수록 항목에서 일부 내용을 가감한 것이다.

[형태/서지]

국립중앙도서관의 『상주목읍지』는 인찰지(印札紙)를 사용하지 않아 계선(界線)이 없고, 채색 지도는 싣지 않아 선본(善本)이라 할 수 없다. 78장의 필사본으로 대체로 1면에 12행, 1행의 자수 30자씩 필사하였다.

각 기관에서 제시한 ‘상주목읍지’ 11종의 서명을 보면 다음과 같다. 『상주목읍지』 5종은 국립중앙도서관[1832년],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1786], 서울대학교 중앙도서관 상백문고[1862년경], 일본 나카노시마도서관[1865년경], 상주박물관[1899] 소장본이고, 『상주읍지』 3종은 계명대학교[1854년], 고려대학교[1786], 국립중앙도서관[1832] 소장본이다. 『상산읍지』 2종은 서울대학교 중앙도서관 상백문고[1775], 국립중앙도서관[1857] 소장본이며, 개인이 위탁한 상주박물관 소장본은 『상산지병오초책』이다.

표지 제목을 보면, ‘상산읍지’가 가장 많은 3종으로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과 나카노시마도서관의 『상주목읍지』, 서울대학교 중앙도서관 상백문고 『상산읍지』이며, ‘상산지’ 2종은 서울대학교 중앙도서관 상백문고 『상주목읍지』와 국립중앙도서관의 『상산읍지』이다. ‘상주목읍지’ 2종은 국립중앙도서관과 상주박물관의 『상주목읍지』, ‘상주읍지’는 국립중앙도서관의 『상주읍지』이다. 계명대학교의 『상주읍지』는 ‘읍지’이고, 상주박물관의 『상산지병오초책』은 ‘구당지(舊堂誌) 상산지병오초책(商山誌丙午草冊)’이며, 고려대학교의 『상주읍지』는 표지 제목이 확인되지 않는다.

표지보다는 내지 제목을 통하여 읍지의 편찬 시기를 추정하기가 편리하다. ‘상주진상주목’ 4종은 서울대학교 중앙도서관 상백문고의 『상산읍지』,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의 『상주목읍지』, 고려대학교 『상주읍지』, 상주박물관의 『상산지병오초책』이다. 서울대학교 중앙도서관 상백문고본은 1775년지이고, 나머지 3종은 1876년지이다. ‘상주목읍지’ 5종은 국립중앙도서관·서울대학교 중앙도서관 상백문고·나카노시마도서관·상주박물관의 『상주목읍지』, 국립중앙도서관의 『상산읍지』이다. ‘상주읍지’는 계명대학교의 『상주읍지』, ‘상산읍지’는 국립중앙도서관의 『상주읍지』이다.

[의의와 평가]

현재 각 기관이 소장하고 있는 상주목의 개별 읍지는 대부분 전국 읍지 편찬 사업 과정에서 제작된 것이다. 특히 ‘상산읍지전말’은 1832년 규장각의 지시로 각 고을에 읍지 편찬을 지시한 사실과 읍지 편찬 과정에서 일어난 향론의 분리 및 감영의 지도를 알려 주는 중요한 자료이다.

[참고문헌]
  • 이재두, 『조선후기 읍지 편찬의 계보』(민속원, 2023)
  • 계명대학교 동산도서관(https://library.kmu.ac.kr)
  • 고려대학교 도서관(https://library.korea.ac.kr)
  • 고려대학교 해외한국학자료센터(http://kostma.korea.ac.kr)
  • 국립중앙도서관(https://www.nl.go.kr)
  • 상주박물관(https://www.sangju.go.kr/museum)
  •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https://kyu.snu.ac.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