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9100893 |
---|---|
한자 | 鄭宗魯 |
영어공식명칭 | Jung Jongro |
이칭/별칭 | 사앙(士仰),입재(立齋),무적옹(無適翁) |
분야 | 역사/전통 시대,인물/전통 시대 인물 |
유형 | 인물/문인·학자 |
지역 | 경상북도 상주시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송석현 |
출생 시기/일시 | 1738년 - 정종로 출생 |
---|---|
활동 시기/일시 | 1789년 - 정종로 광릉참봉 제수 |
활동 시기/일시 | 1796년 - 정종로 의금부도사 제수 |
활동 시기/일시 | 1797년 - 정종로 함창현감 부임 |
몰년 시기/일시 | 1816년 - 정종로 사망 |
추모 시기/일시 | 1836년 - 정종로 우산서원 배향 |
출생지 | 율리 - 경상북도 상주시 청리면 율리 |
거주|이주지 | 상주 우산(愚山) - 경상북도 상주시 외서면 우산리 |
수학|강학지 | 도남서원 - 경상북도 상주시 도남2길 91[도남동 175-1] |
외가|처가 | 함창 율리 - 경상북도 상주시 청리면 율리 |
성격 | 문신 |
성별 | 남성 |
본관 | 진양(晉陽) |
대표 관직|경력 | 함창현감 |
[정의]
조선 후기 상주 출신의 문신.
[가계]
정종로(鄭宗魯)[1738~1816]의 본관은 진양(晉陽)이며, 자는 사앙(士仰), 호는 입재(立齋)·무적옹(無適翁) 등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정석교(鄭錫僑)이고, 할아버지는 정주원(鄭胄源)이다. 아버지는 정인모(鄭仁模)이고, 어머니는 홍익구(洪益龜)의 딸 부림 홍씨(缶林 洪氏)이다. 부인은 이민현(李民顯)의 딸 전주 이씨(全州 李氏)이고, 아들은 정상진(鄭象晉)·정상승(鄭象升)·정상관(鄭象觀)이다.
[활동 사항]
정종로는 1738년(영조 14) 함창현 율리[현 경상북도 상주시 청리면 율리]의 외가에서 태어났다. 어린 시절 할아버지 정주원에게 글을 배웠고, 1705년부터는 정의모(鄭義模)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1756년에 할아버지와 아버지가 연이어 사망하자 큰아버지 정예모(鄭禮模)와 작은아버지 정지모(鄭智模)에게 가학을 이어받았다. 정예모·정지모가 사망한 뒤 1777년(정조 원년)부터 남한조(南漢朝) 등 상주 지역의 학자들과 본격적으로 교유하였다.
정종로는 예천의 박손경(朴孫慶), 안동의 이상정(李象靖), 대구의 최흥원(崔興遠) 등 이른바 영남삼로(嶺南三老)를 모두 찾아가 배움을 청하였고, 50대 이후에는 영남 지역을 대표하는 학자가 되었으며 도남서원(道南書院)의 원장을 맡기도 하였다.
정종로는 학행으로 천거되어 1789년 광릉참봉에 제수되었고, 곧이어 채제공(蔡濟恭)의 추천으로 의금부도사에 임명되었다. 1796년 사포서별제에 제수되었고, 1797년 함창현감으로 부임하였으나 4개월 후 사직하고 상주 우산(愚山)[현 상주시 외서면 우산리]으로 낙향하였다. 이후 사헌부지평·사헌부장령 등에 제수되었으나 나아가지 않고 후학 양성에 전념하다가 1816년(순조 16) 사망하였다.
[학문과 저술]
정종로의 저술로는 문집인 『입재집(立齋集)』이 전한다. 『입재집』은 원집 48권 24책, 별집 9권 4책, 연보 2권 1책으로 총 61권 30책인 당대 보기 드문 분량이다. 정종로는 「태극권자설(太極圈子說)」과 「태극동정설(太極動靜說)」을 지어 태극과 동정을 분리시키는 이원주의를 비판하였고, 「이강기약설(理强氣弱說)」과 「이기심성설(理氣心性說)」을 통하여 주리론적 입장을 관철하였다.
[상훈과 추모]
정종로는 1836년(헌종 2) 자금의 상주시 외서면 우산리에 있던 우산서원(愚山書院)에 배향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