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상북도 상주시에서 고사리를 뜯을 때 부르던 노래. 경상북도 상주 지역에서 전승되어 오는 「고사리노래」는 부녀자들이 고사리를 뜯을 때 힘든 것을 잊으려고 부르던 일종의 노동요이다. 힘들게 고사리를 뜯어 집에 왔는데 마침 멀리 떠났던 낭군이 집에 돌아와 있어 반가운 마음으로 고사리를 맛있게 볶아 낭군과 함께 밤새워 먹었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
경상북도 상주시에서 논에서 김을 맬 때 부르던 노래. 「논매기 노래」는 논에서 김을 맬 때 부르는 노래이다. 모를 심은 후에는 그냥 두는 것이 아니라 호미나 기계로 두세 차례에 걸쳐 애벌매기[논이나 밭을 맨 처음으로 김매는 일], 이듬매기[논밭을 두 번째 갈거나 매는 일], 만물매기[벼를 심은 논에 마지막으로 하는 김매기]를 하는데, 매번 노동의 강도나 조건은 조금씩 다르다. 「논...
-
경상북도 상주시에서 집터를 닦으면서 부르는 노래. 「달구소리」는 집을 지으려고 집터를 닦을 때나, 사람이 죽어 하관을 마치고 관 주변에 흙을 넣고 땅을 다질 때 부르는 노래이다. 흔히 「회다지소리」라고도 한다. 땅을 다지는 일은 일꾼들에게는 동작을 맞추어 큰 힘을 들여야 하는 장시간 노동이기에, 자연스레 「달구소리」와 같은 노동요가 형성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경상북도 상주시에서 전...
-
경상북도 상주시에서 모내기할 때 부르는 노동요. 「모심기노래」는 모판에서 뽑은 모를 정식으로 논에 옮겨 심을 때 부르는 노동요이다. 흔히 「모심기소리」, 「모내기소리」, 「이앙가」 등으로도 불린다. 예부터 농업 중심 사회였던 우리나라에서는 전국 각지에 분포하며 지역에 따라 사설의 내용과 형식, 창법 등이 다양하게 나타난다. 경상북도 상주시에서도 여러 종류의 「모심기노래」가 전하여...
-
경상북도 상주시에서 여성들이 밭을 맬 때 부르는 노래. 「밭 매는 소리」는 부녀자들이 밭을 맬 때 부르는 노동요이다. 논매기와 달리 밭매기는 주로 여성이 맡아 하였기 때문에 「밭 매는 소리」는 여성의 노동요로 발전하여, 전국적으로 분포되어 있다. 특히 여성이 노동을 많이 하였던 영남과 호남, 제주도 지역에서 널리 불려졌다. 경상북도 상주시에서 전승되는 「밭 매는 소리」의 사설은 대...
-
경상북도 상주시에서 부녀자들이 베를 짜면서 부르던 민요. 「베틀노래」는 전국 곳곳에 「베틀가」, 「베짜기노래」 등의 이름으로도 분포하고 있는 부녀 노동요이다. 지역별로 조금씩 차이가 있기는 하지만 사설의 짜임은 거의 일정하게 짜여 있는데, 대개는 월궁에서 놀던 선녀가 지상으로 내려와 옥난간에 베틀을 놓는 과정과 베를 짜는 모습을 그리고 있다. 경상북도 상주 지역에서 전하여 오는 「...
-
경상북도 상주시에서 전해지는 부녀자들이 삼을 삼으면서 부르던 길쌈노동요. 삼삼기는 가늘게 찢은 삼실을 한 올 한 올 맞대어 비벼 꼬아서 길게 이어 붙이는 일이다. 이렇게 삼을 삼는 작업을 하면서 졸음을 쫓거나 힘든 것을 잠시라도 잊고자 노래를 부르는데, 이 노래가 「삼삼기노래」, 또는 「삼 삼는 노래」이다. 노래의 내용이 주로 밤을 새워 삼을 삼다가 잠을 쫓는 것으로 되어 있어,...
-
경상북도 상주시에서 상여꾼들이 상여를 메고 가면서 부르는 민요. 전국 여러 지역에서 불리는 「상엿소리」는 상여꾼들이 상여를 메고 가면서 부르는 의식요이다. 전통 사회의 농촌에서는 초상이 나면 마을 단위로 마을 사람들이 서로 협동하여 장례를 치르고, 또 상여꾼들이 되어서 「상엿소리」를 부르곤 하였다. 경상북도 상주시에서 전하여 오는 「상엿소리」는 「상여소리」라는 이름으로 채록되었는데...
-
경상북도 상주시에서 서보라는 보를 치면서 부르던 노래. 경상북도 상주시에서 전승되어 오는 「상주 서보가(尙州 西洑歌)」는 상주의 서보(西洑)를 배경으로 하여 보를 고치거나 보수를 하는 과정에서 자연발생적으로 나타난 노동요이다. 상주 고유의 민요로서 「채련요」와 함께 상주민요의 쌍벽을 이루며, 상주 지역 사람들이 가장 즐겨 부르는 노래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에서 구전으로 전승되고 재창조되어 온 전통민요. 「아리랑」은 “아리랑 아리랑 아라리요”, “아라리~”라는 말이 들어 있거나 이러한 말의 변이를 후렴 또는 앞소리로 지니고 있는 민요이다. ‘아리랑’이라는 명칭도 여기에서 비롯하고 있다. 「아리랑」은 전국에 고루 분포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해외에도 널리 퍼져 있다. 경상북도 상주시에서 전승되고 있는 「상주아리랑」은 상주시...
-
경상북도 상주시에서 새를 소재로 하여 부르던 민요. 경상북도 상주시에서 전승되는 「새야 새야 각노새야」는 “새야 새야 각노새야 너는 어데 자고 왔노”로 시작하여 등턱새, 댕강새, 희롱새, 분홍새, 파랑새 등 다양한 새가 등장하는 노래이다. 가창자는 실제로 존재하는 새의 이름이 아니라 자신의 눈에 비친 그대로를 이름으로 불렀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아랫녁 새야 윗녁 새야 니 나락 내...
-
경상북도 상주시에서 엿장수가 엿을 팔면서 부르던 민요. 「엿장수타령」은 엿장수들이 엿을 팔면서 손님의 관심을 모으려고 엿가위로 내는 쩔꺽쩔꺽 소리를 장단 삼아 부르는 타령조의 노래이다. 「엿장수타령」은 장터를 떠도는 엿장수만이 아니라 일반 사람들에게도 퍼져 점차 가창 유희요의 성격을 띠게 되었다. 「엿장수타령」의 사설은 지역에 따라 조금씩 차이가 있으며, 대개 독창으로 부른다....
-
경상북도 상주시에서 해충인 이를 잡으면서 부르는 민요. 이목에 속하는 곤충을 일컫는 이는 사람의 몸에 기생하면서 피를 빨아 먹는 해충이다. 경상북도 상주시에서 전승되어 오는 「이노래」는 이가 사람의 몸과 머리에 붙어 잘 먹고 지내다가 잡혀서 손톱에 눌려 죽는 이야기를 엮은 해학적인 유희요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 공검면에서 전하여 오는 무가. 재수굿은 집안의 안녕함과 자손의 번창, 그리고 가족의 장수와 다복을 비는 무속 의례이며, 경사굿·안택굿이라고도 한다. 죽은 이의 영혼 천도를 목적으로 하는 지노귀굿과 달리, 산 사람의 복을 집안 단위로 비는 굿이다. 경상북도 상주시에서 전승되는 「재수굿노래」는 이러한 재수굿을 할 때 사용되는 무가이다....
-
경상북도 상주시에서 형에게 빌린 돈을 갚지 않겠다고 다짐하는 민요. 경상북도 상주시에서 전하여 오는 「정금노래」는 빚에 시달리다가 어떤 일이 있어도 빚을 갚지 않겠다고 거듭 다짐하는 매우 특이한 내용을 담은 유희요이다. 다른 지역에서는 「징거미타령」, 「징금이타령」, 「징금이노래」 등의 이름으로 전승되며, 일반적으로 민물새우의 일종인 징거미가 노래의 소재이며 신체의 일부를 팔아서라...
-
경상북도 상주시에서 정월대보름 전후로 지신밟기를 하면서 부르는 민요. 지신밟기는 마을 공동체의 연중 행사 중 하나로서 정월대보름을 전후하여 행하여지는 민속놀이이다. 정월대보름 무렵 마을 풍물패는 집집마다 방문하여 풍물을 울리며 지신밟기를 하면서 잡신과 악귀를 물리치고 마을과 각 가정의 안녕, 풍농과 풍어가 이루어지기를 기원하였다. 「지신밟기소리」는 지신밟기 과정에서 부르는 노래이며...
-
경상북도 상주시를 대표하는 전통 민요. 「채련요」는 ‘상주 함창’, 곧 지금의 경상북도 상주시 공검면 양정리에 있는 경상북도 기념물 상주 공검지(尙州 恭儉池)[공갈못]를 배경으로 형성된 민요이다. 「연밥 따는 노래」라고 불리기도 하며, 흔히 「상주 모심기노래」라고 알려져 있다. 아름답고 서정적인 가락에 향토성과 토속성이 짙게 스며 있어 전국에 널리 전파되어 있어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
경상북도 상주시에서 본처가 첩을 원망하며 부르던 민요. 전국에 분포하는 「첩노래(妾노래)」는 전통사회에서 주로 여성의 몫으로 여겨졌던 길쌈이나 가사 노동 등을 하면서 부르던 여성들의 노동요이자 시집살이요이다. 사설의 내용은 지역에 따라, 가창자에 따라 달라진다. 경상북도 상주시에서 전하여 오는 「첩노래」는 본처가 벼르고 첩의 집에 찾아갔으나 첩이 하는 행동과 외모를 보고 복수도 못...